요 태조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요 태조는 916년 거란의 가한으로 즉위하여 요나라를 건국한 야율아보기(872년~926년)를 가리킨다. 그는 거란족을 통합하고 칭제건원하여 동아시아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유목민과 정착민을 아우르는 이중 통치 체제를 확립했다. 발해를 멸망시키고, 거란 문자를 제정하는 등의 업적을 남겼다. 그의 아들인 야율배, 야율덕광, 야율이호 등이 있으며, 순흠황후 술율평을 황후로 두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872년 출생 - 파라비
알-파라비는 중세 이슬람 철학의 주요 인물로서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연구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논리학, 철학, 음악, 자연과학 등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은 지식을 쌓았고, 그의 사상은 후대 이슬람 철학은 물론 유럽 스콜라 철학에도 영향을 미쳤다. - 872년 출생 - 이인한
이인한은 오대십국시대 후량, 후당, 후촉에서 활동한 군인으로, 주전충 휘하에서 군 경력을 시작하여 여러 요직을 거쳤으나, 후촉에서 반역 혐의로 처형되었다. - 926년 사망 - 이존욱
오대십국 시대 후당의 초대 황제인 이존욱은 당나라 부흥을 내세워 후량을 멸망시키고 후당을 건국했으나, 사치와 측근 정치로 민심을 잃어 반란으로 비극적인 최후를 맞이한 군사적 능력과 예술가적 기질을 지닌 통치자이다. - 926년 사망 - 장전의
장전의는 당나라 말기 오대십국시대 혼란기에 황소의 난에 가담 후 당나라에 항복하여 절도사가 되었고, 뛰어난 처세술로 후량과 후당을 섬기며 권력을 유지했지만 부도덕한 행위도 저질렀다는 평가를 받는 인물이다. - 요나라의 황제 - 요 태종
요 태종 야율덕광은 군사적 재능으로 요나라 영토를 확장하고 후진을 멸망시켜 중원 지역을 장악했으나, 한족에 대한 가혹한 통치로 사회적 불안과 민족 갈등을 심화시켰다는 평가를 받는 요나라의 제2대 황제이다. - 요나라의 황제 - 요 세종
요 세종은 요 태조의 손자이자 요나라의 제3대 황제로, 개혁을 통해 중앙 집권 체제를 다졌으나 사촌의 쿠데타로 암살당했다.
요 태조 - [인물]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이름 | 아보기 (阿保機) |
씨족 | 야율(耶律) |
시호 | 대성대명신렬천황제(大聖大明神烈天皇帝), 약칭 천황제(天皇帝 또는 天帝) |
묘호 | 태조(太祖) |
칸호 | 대성대명천황제(大聖大明天皇帝) |
한자 이름 (씨족 포함) | 耶律阿保機 |
거란 이름 | 아보기 (阿保機) |
한화 이름 | 억(億) |
출생 | 872년 |
사망 | 926년 9월 6일 |
매장지 | 조릉(祖陵, 현재 내몽골 자치구 바린 좌기) |
통치 정보 | |
칭호 | 황제 |
국가 | 요나라 |
재위 기간 | 916년 – 926년 |
즉위 | 요나라 건국 |
계승자 | 태종 |
연호 | 신책(神冊): 916년–922년 천찬(天贊): 922년–926년 천현(天顯): 926년 |
가문 | |
가문 | 야율 |
왕조 | 요나라 |
아버지 | 야율 살라디 |
어머니 | 소 암모근 |
배우자 | 술율 평황후 |
2. 생애
872년 거란족 야율씨(Yalut) 부족에서 태어난 야율아보기는 어린 시절 종족 간 갈등으로 인해 불안정한 시기를 보냈다. 그의 조부 야율균덕식은 피살되었고, 아버지 야율살랄적과 삼촌은 도피 생활을 했다.[22] 야율아보기는 할머니 소월리타에 의해 숨겨져 길러졌다.
901년 야율아보기는 이라(移喇) 부족의 부족장이 되었고, 903년에는 거란 군사령관인 유웨(Yüwe)로 임명되어 거란 내 2인자가 되었다. 907년 여러 부족장의 지지를 받아 거란의 대가한(大可汗)이 되었다.[6] 907년부터 916년까지 야율아보기는 주로 그의 가족 구성원(사촌과 형제)이 조장한 끊임없는 봉기와 반란에 시달렸으나, 결국 그들을 설득하고 영향력 있는 직책에 임명하여 권력을 증대시켰다.
후대 중국 역사가들은 아바오지(阿保機)의 탄생을 둘러싼 다양한 전설들을 기록하고 있다. 전설에 따르면, 그의 어머니 소염목진(蕭巖穆斤)은 하늘에서 해가 떨어져 자신의 품으로 들어오는 꿈을 꾸었고, 그 후 임신을 했다고 한다. 그가 태어났을 때, 방은 신비한 빛과 특별한 향기로 가득 찼다고 전해진다. 갓 태어났을 때 아바오지의 몸은 3살 아이와 같았고, 심지어 3개월 만에 걷기 시작했다고 전해진다. 그는 심지어 일어날 일을 미리 볼 수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2. 1. 요나라 건국
916년 야율아보기는 황제를 칭하고 국호를 '대요(大遼)'라 하였으며, 요하 상류 임황(臨潢)에 도읍하였다. 연호를 신책으로 정하고, 한족의 문물을 받아들여 한자를 본뜬 거란 문자를 창제하는 등 국가의 기틀을 다졌다.[11] 유목민과 정착민을 분리하여 통치하는 이중 통치 체제를 확립하였다.[8] 922년 고려에 사신을 보내기도 하였다.신책 원년 2월 11일 (916년 3월 17일), 야율아보기는 거란 가한에 즉위하여(제2차 즉위), 국호를 "키타이=거란"으로 정하고 연호를 신책으로 하여 거란인의 왕조를 건국했다.
태조(야율아보기)는 북재상에 소할랄, 북원 이리근에 야율사예적, 남부 재상에 야율소, 남원 이리근에 야율첩리를 임명하여 국가를 운영하였다.
그 후 서쪽의 돌궐, 토욕혼, 소번, 저복, 탕구트, 위구르, 사타 여러 부, 북쪽의 여진, 남쪽의 중국 10여 주, 동쪽의 발해를 정복하고, 장남 야율돌욕을 동단국 왕으로 봉했다.
정치 면에서 야율아보기는 유목민과 정주민을 다른 기구로 통치하는 이중 통치 체제를 만들고, 유목 지역 내에도 많은 도시를 건설했다. 또한 유목 국가이면서도 농경 국가의 기구를 받아들여 한인을 등용하여 흉노 이래 유목 국가 기구를 더욱 견고하게 만들었다.
문화 면에서는 한족 문화를 적극적으로 흡수하여, 신책 5년 (920년)에는 거란 문자를 제정했다.
2. 2. 발해 멸망과 최후
925년 12월, 몽골 지역 정벌을 마무리한 후 발해 정벌을 시작하여 926년 1월 발해를 멸망시켰다.[22] 이후 정안국 등 발해의 계승국들이 생겨났으나 결국 이 지역은 요나라의 영향권 아래 평정되었다.야율아보기는 발해를 멸망시키고 거란으로 돌아가던 중 부여부에서 사망하였다.[18][19] 베이징 대학의 뤄신 교수는 야율아보기가 자살했을 가능성을 제기하였다.[19]
3. 연호
4. 가족 관계
요 태조는 순흠황후와의 사이에서 장녀 야율질고, 장남 야율배, 차남 야율덕광, 3남 야율이호를 두었고, 궁인 소씨에게서 4남 야율아리과를 얻었다.
4. 1. 황후
요 태조의 황후는 다음과 같다.
4. 2. 자녀
봉호 | 시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별칭 | 비고 | |
---|---|---|---|---|---|---|---|
1 | 동단왕(東丹王) | 문무원황왕 (文武元皇王) | 야율도욕(耶律圖欲) 야율배(耶律倍) | 900년 ~ 937년 | 순흠황후(술율평) | [24][25] | |
2 | 대원수(大元帥) | 야율요골(耶律堯骨) 야율덕광(耶律德光) | 902년 ~ 947년 | 순흠황후(술율평) | 제2대 황제 태종(太宗). | ||
3 | 황태제(皇太弟) | 장숙황제 (章肅皇帝) | 야율홍고(耶律洪古) 야율이호(耶律李胡) | 911년 ~ 960년 | 순흠황후(술율평) | [26][27] | |
4 | 야율아리과(耶律牙里果) | 궁인 소씨 | |||||
봉호 | 이름 | 생몰년도 | 생모 | 부마 | 별칭 | 비고 | |
1 | 공주(公主) | 야율질고(耶律質古) | 순흠황후(술율평) | 소실로(蕭室魯) | [28] |
야율아보기는 916년에 자신의 아들 야율배를 후계자로 지명하였으나, 이는 거란 사회에서는 처음있는 일이었고 실력에 의한 통치라는 거란의 개념과는 정반대되는 것이었다.[9][10] 황태후 순의황후는 야율배를 가치 있다고 여기지 않았고, 그녀의 둘째 아들 야율덕광이 황위를 계승하도록 조치했다.[17]
5. 평가
야율아보기는 거란족을 통합하고 요나라를 건국하여 동아시아 역사에 큰 영향을 미쳤다. 발해를 멸망시킨 인물로, 한국사에서는 부정적인 평가를 받기도 한다.[12] 하지만 유목 국가의 기틀을 다지고, 유목민과 정착민을 아우르는 이중 통치 체제를 확립하는 등 정치, 제도 면에서 중요한 업적을 남겼다는 평가를 받는다.[8]
태조(야율아보기)는 정치 면에서 큰 공적을 남겼다. 거란에서는 유목민과 정주민을 다른 기구로 통치하는 이중 통치 체제를 만들었으며, 유목 소유지 내에도 많은 도시를 건설했다. 또한 유목 국가이면서도 농경 국가의 기구를 받아들여 한인을 적극 등용하여 흉노 이래의 유목 국가 기구를 더욱 견고하게 만들었다.
문화 면에서는 한족 문화를 적극적으로 흡수하여, 신책 5년 (920년)에는 대소 2종으로 이루어진 거란 민족 고유의 문자 "거란 문자"를 제정했다.[11]
6. 기타
야율아보기의 탄생에는 여러 전설이 전해진다. 그의 어머니 소염목진(蕭巖穆斤)은 하늘에서 해가 떨어져 자신의 품으로 들어오는 꿈을 꾸었고, 그 후 임신을 했다고 한다. 그가 태어났을 때, 방은 신비한 빛과 특별한 향기로 가득 찼으며, 갓 태어난 아바오지의 몸은 3살 아이와 같았고, 심지어 3개월 만에 걷기 시작했다고 한다. 그는 심지어 일어날 일을 미리 볼 수 있었다고도 한다.[18]
사망 원인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존재한다. 924년 7월 22일, 야율아보기는 "3년 후, 병술년 초가을이 되면 반드시 돌아갈 곳이 있을 것이다"라고 예언했다.[18] 실제로 3년 후인 926년 7월 26일 (9월 6일), 발해 원정을 마치고 귀환하던 중 부여부에서 사망했다. 베이징 대학 뤄신 교수는 야율아보기가 자살한 것이 아닌가 추측하고 있다.[19]
참조
[1]
harvnb
[2]
harvnb
[3]
harvnb
[4]
harvnb
[5]
harvnb
[6]
harvnb
[7]
harvnb
[8]
harvnb
[9]
harvnb
[10]
harvnb
[11]
harvnb
[12]
harvnb
[13]
harvnb
[14]
harvnb
[15]
harvnb
[16]
harvnb
[17]
harvnb
[18]
인용
遼史
[19]
도서
從馬可波羅到馬戛爾尼:蒙古時代以降的內亞與中國
팔旗문화
2020-09-02
[20]
문서
[21]
문서
[22]
문서
[23]
문서
[24]
문서
[25]
문서
[26]
문서
[27]
문서
[28]
문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